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이 기자, 첫번째 주제 '정의당의 헛발질'이네요. 정의당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과 관련해서 부적절한 표현을 해서 논란이 되고 있죠?<br><br>네, 정의당은 지난 20일 당 공식 트위터에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대해 언급하면서 미국을 비난했습니다.<br><br>미국이 지나치게 많은 돈을 요구하는 건 오만함과 무도함 그 자체라고 하면서,<br><br>"한국은 미국의 패권을 위해 돈 대주고 몸 대주는 속국이 아니다"라고 했습니다.<br><br>Q. '몸 대주는' 이라는 표현이 굉장히 부적절했다고 보는데 정의당은 사과를 했습니까?<br><br>네, 정의당은 지난 20일 오후에 "부적절한 표현이 있었다, 사과드리며 재발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"고 했습니다.<br><br>'몸 대주는' 대신 '병력 대주는'으로 표현도 수정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비판이 잇따르고 있는데요.<br><br>소설가 공지영 씨는 SNS에 "자한당(자유한국당)인줄 알고 이런 말 쓰는 천한 것들, 하려고 보니까 정의당. 정말 제정신이세요?"라고 저격했습니다.<br><br>바른미래당도 "'정의'가 없는 '정의당'. '정신'도 없는 '정의당'이 되기로 한 모양"이라고 일침을 날렸습니다./<br><br>Q. 그런데 정의당을 감싸는 듯한 발언을 해서 논란이 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있다면서요?<br><br>네, 바로 이종걸 민주당 의원입니다.<br><br>이종걸 의원은 "'몸 대주는'이라는 말만 보면 공지영 씨의 오독처럼 성적인 것을 연상할 수 있지만 원문을 보면 그런 뜻이 아니다"라며 정의당이 미국의 무리수를 비판한 것이라고 했는데요.<br><br>공지영 씨는 "'몸 대주는'이라는 말에 그 어떤 오독이 있다는 말씀이냐, 애초에 오용한 것"이라고 맞받아쳤습니다.<br><br>Q. 처음부터 부적절한 표현을 쓴 정의당의 잘못이겠죠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얼굴이 보이고 '수염의 정치학'. 무슨 내용입니까?<br><br>모범생 이미지였던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단식 투쟁 이후로 수염도 기르고 거친 발언도 서슴지 않고 있는데요.<br><br>황 대표의 달라진 모습을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.<br><br>#싱크<br>[황교안 / 전 국무총리(지난 1월)]<br>"나라의 근간이 무너지고 국민들은 혼란스러워 하고 계십니다."<br><br>영상출처 : 유튜브(노컷브이)<br>[황교안 / 자유한국당 대표(지난 6일)]<br>"제가 이 수염을 얼마 전 단식하면서부터 여러 가지 불편해서 안 깎았는데 안 깎는 게 좋겠다는 얘기가 더 많네요."<br><br>[황교안 / 자유한국당 대표(지난 17일)]<br>"(예산이) 문희상 자기돈 쓰는 거예요? 정말 도둑놈 아닙니까. 내 돈 가지고서 왜 지가 뭔데 쓰는 거예요."<br><br>Q. 황 대표가 1년 만에 확 달라졌네요. 수염을 길렀던 정치인은 황 대표 말고도 꽤 있지 않습니까?<br><br>네,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6년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대표직에서 물러난 뒤 야인 신분으로 네팔과 부탄을 찾았는데요.<br><br>당시에 등산복을 입고 턱수염을 기른 모습이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><br>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하기 전에 백두대간 종주를 했었는데요.<br><br>안철수 당시 서울대 교수에게 후보 단일화, 즉 '아름다운 양보'를 받는 자리에 털복숭이가 된 채 나타났습니다.<br><br>Q. 당시에 덥수룩한 수염을 한 채로 박원순 시장이 나타나서 화제가 됐던 게 기억이 나는데요. 정치인들이 이렇게 수염을 기르고 나타나는 이유가 뭡니까?<br><br>조수빈 앵커는 '럼버섹슈얼'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?<br><br>Q. 럼버와 섹슈얼의 합성어 같은데 무슨 말입니까?<br><br>나무꾼과 메트로섹슈얼의 합성어인데요. 투박한 남성미를 강조하는 패션을 의미합니다.<br><br>한마디로 나무꾼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.<br><br>정치인에게는 남성미를 강조하고 고뇌에 찬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<br><br>황교안 대표 같은 경우에도 범여권을 상대로 한국당이 홀로 싸우는 상황이다보니 모범생이 아닌 '투사의 이미지'를 더 강조하고 있는 걸로 분석됩니다.<br><br>하지만 당내에서는 불만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><br>한국당의 한 팀장급 핵심당직자는 "지금의 당은 마치 검사동일체 조직인 것 마냥 굴러가고 있다"며 SNS에서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<br><br>공안 검사 출신인 황 대표가 독단적인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심재철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얼굴이 보이고, '한국당의 묘수'. 한국당이 어떤 묘수를 쓰고 있습니까?<br><br>바로 '비례한국당'입니다.<br><br>만일 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지역구 당선자를 많이 낼수록 비례대표는 적게 가져가게 되거든요.<br><br>그런데 비례한국당을 만들면 지역구도 챙기고 비례대표도 챙길 수 있게 됩니다.<br><br>지역구 선거는 한국당 후보를 찍고 비례대표 선거는 '비례한국당'에 투표하면 된다는 건데요.<br><br>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.<br><br>#싱크<br>[심재철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(지난 19일)]<br>"만일 민주당과 좌파연합세력이 이 같은 연동형 선거제를 밀어붙인다면 우리는 '비례한국당'을 만들 수밖에 없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."<br><br>한마디로 민주당을 향해서 비례한국당 보기싫으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도 하지 말라고 압박하는 겁니다. <br><br>Q. 민주당 반응은 어떻습니까? 상당히 곤란하게 된 것 같은데요.<br><br>민주당 내부에서는 우리도 '비례민주당' 만들어야 되는거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명분도 없고 정의당이 벌써부터 견제하고 나섰습니다.<br><br>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"(자유한국당의) 묘수? 할 말을 잃는다"며 "민주당에게도 묻는다. '비례한국당' 겁나나? 민주당마저 국민들 우습게 여기지 마세요"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Q. 비례한국당을 만들더라도 선거운동을 하는 게 곤란할 것 같은데요. 지역구는 한국당 찍고 비례대표는 비례한국당 찍으라고 해도 되는 겁니까?<br><br>일단 선관위에 따르면 한 정당이 비례대표 후보를 내면 이 정당은 다른 정당의 비례대표 후보 당선을 위한 선거운동을 할 수 없습니다.<br><br>다만 한국당이 비례대표를 아예 포기한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.<br><br>선관위는 "이런 경우 선례가 없어 당장 답하기는 어렵다"며 세부적 법리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Q. 이 모든 게 다 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된 것을 전제로 하는 거지요? 한국당의 묘수가 통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연출·편집 : 박은지PD, 이현주 PD<br>구성 : 이동은 기자, 배 준 작가<br>그래픽 : 권현정 디자이너